전체 글 (217)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터스텔라에서 러닝타임상 생략되지만 작중 머피의 시간으로보면 지구에 있더라도 쿠퍼보다 더 힘들었을건 자명한 사실이다. 하나뿐인 가족과도 불화가 있었고, 모두가 네 아버지는 널 버리고 갔다, 살아돌아오지 않을거다고 부정적인 사실만을 말할테니까. 우리는 쿠퍼가 너머에서 중력방정식을 알려주었다는 사실을 알지만, 머피의 주변인들이 과연 그말을 믿을까? 아니, 머피는 이제 믿든 말든 더이상 상관하지 않을 것이다. 자신은 분명히 아버지를 느꼈으니까. 그리고 그 믿음은 나이가 들어 죽기일보직전에, 시간을 멈춰두었을때까지도 지속되어 한번의 만남으로 모두 보상받게된다.놀란은 왜 웜홀너머에서 메시지를 전하려던 쿠퍼를 처음에 ’귀신’으로 치부했을까. 여기에서 말한 과학은 아직은 미지의 경지로, 과학자인 킵손이 자문으로 참여했음에도 과학자들로부터 오류를 지적받.. 고죠의 결말에 대해서는 이미 여기서 어느정도 복선이 깔렸음물(실제질량)에 투영되는 하늘(가상의 질량)가상의 질량 = 주력 인게 설정이고고죠는 그 부분에서 끝판왕이었기에 반영된 은유인데(쉽게 생각하면 츠쿠모 술식의 상위호환)원래 고죠영역의 이름(空)을 생각하면 그냥 하늘이어도 되지않았을까 싶은데 이 작품이 또 결계, 경계(육체)라는 개념을 두어서, 무량공처 자체로 복마어주자같은 결계를 닫지않은 영역전개가 쉬운게 아님. 스쿠나는 자기 마음속만 투영하면 되는데 고죠는 무한자체를 구현하는게 한계(결계)가 있음…스쿠나처럼 주변인 휘말리게하는게 당연한 포지션도 아니고결국 고죠라는 ‘하늘’이 제 모습을 그대로 투영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물’이라는 매개체인데 작중 ‘물’자체로만 강조된 영역은 딱 하나고, 이게 미완성이며 고죠가 성장.. 주술 엔딩을 납득한 이유 -그 엔딩이 작가가 원하는걸 못푼것에 가깝다는걸 30권의 작가말들 보고 알았기때문임. 애시당초 이 만화를 파고 지지했던 이유는 작가의 성향이, 일본사회의 문제를 대놓고 지적했기 때문이었음. 특히 전반적으로 체제의 개선점이 개인의 내부변화보다 체제를 무너뜨린다는 점으로 체제의 문제로 꼽았기에 신선했음. 전체적인 성향이 드물게 할리우드 영화취향이고, 실제로도 작품내에서 흑인이나 미군이 꽤 디테일하게 그려짐. 다만 이게 일방적으로 미국의 문화를 맹신하는게 아닌 나름의 고증으로 그려진점, 일본 그 자체를 일방적인 피해자로 묘사하기보다 ‘정부(상층부)’와 입장을 확실히 분리해(16권)묘사한 점 또한 괜찮은 접근이었다 본다.여기에 이지메, 일본의 사법문제(유죄판정확률)나 스모판의 성차별적문제, 고산케 성차별문제…나..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73 다음